Android 개발에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언어인 Kotlin을 사용합니다.

SAA와 멀티 모듈을 사용하고, 각 모듈의 역할을 명확히 분리하여 코드의 가독성과 확장성을 높이고, MVI 패턴을 통해 UI 상태를 예측 가능하게 관리하고 orbit을 활용해 더 나은 상태관리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합니다.

또한 Hilt를 사용하여 의존성 주입을 간소화하고 코드 간 결합도를 줄여, 더 나은 테스트와 유지보수를 가능하게 합니다.

Coroutines와 Flow를 사용하여 비동기 작업을 관리하고, 데이터 스트림을 효율적으로 처리하여 UI 업데이트와 상태 관리를 원활하게 하고자 하며, Retrofit을 통해 네트워크 통신을 간단히 처리하고, OkHttp는 세부 설정 및 로깅을 제공하여, 네트워크 통신의 안정성과 성능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합니다.

Coil을 사용해 이미지 로딩을 최적화하며, 빠르고 효율적인 이미지 처리를 통해 앱의 성능을 개선하고 Git Flow 전략을 통해 명확한 브랜치 관리와 협업 프로세스를 제공하여 효율적인 협업을 가능하게 합니다.

마지막으로 GitHub Action을 활용한 CI 파이프라인을 통해 코드 품질을 유지하고 자동화된 빌드를 실행하여 오류를 미리 방지하고자 합니다.

1. 공통 컴포넌트 찾기

2. 뷰 스케치 및 각 화면 컴포넌트화 (사진 넣기)

3. UI 로직 설계 (사진 넣기)

4. 공통되는 로직 확장함수화

5. 타 파트와 논의한 내용 - 뷰 관련